고등 교육을 되찾기 위해서는 도덕적 용기와 자율성이 필요합니다
By Dawn Freshwater, PhD
-----------
편집자 소개
"도덕적 용기는 진리, 정의, 공익에 대한 확고한 헌신을 필요로 하며, 특히 이러한 가치가 제도적 이익이나 정치적 편의와 충돌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오클랜드 대학교의 던 프레시워터 부총장은 이러한 미덕, 즉 도덕적 용기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학계 지도자들 사이에서 쇠퇴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보복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학계 지도자들이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표현과 토론의 중심으로서의 대학의 역할을 옹호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습니다. 두려움은 도덕적 용기를 키우는 제도적 독립성을 옹호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습니다.
---------------------
21세기 초부터 대학들은 고등 교육 분야에 특화된 메가트렌드와 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점점 더 많은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현재 재정적 압박, 제도적 자율성, 제도적 중립성 요구, 사회적 라이선스의 침식, 경쟁 순위, 탈식민화, 토착화, 표현의 자유, 학문의 자유, 캠퍼스 커뮤니티에 스며드는 양극화 등 서로 관련된 엄청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편, 인공지능은 우리의 근본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가르치는지, 무엇을 가르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가르치는 것입니다.
이것은 2024년 11월 미국 선거 이전의 우리의 현실이었으며, 이 선거는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고등 교육 시스템 중 하나에 대한 공격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제 우리와 우리 공동체가 당연하게 여기게 된, 우리 기관을 지탱하는 도덕적 용기에 대한 수십 년간의 대화를 재개할 때입니다.
도덕적 용기의 핵심에는 진리, 정의, 공익에 대한 흔들림 없는 헌신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가치가 제도적 이익이나 정치적 편법과 충돌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권력에 진실을 말하다"와 같은 슬로건으로 나타납니다. 흥미로운 단어, 진실. 나중에 자세히 알아보세요. 우리의 도덕적 용기는 이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최전선은 미국이지만 이러한 도덕적 도전은 전 세계로 계속 수출되고 있습니다.
도덕적 용기와 인접한 것은 제도적 자율성입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대학의 이 정의적 전제 조건인 자율성과 자기 결정에 도전하는 입법적 개입에 직면해 있습니다.
도덕적 용기의 침식
도덕적 용기는 윤리, 정의에 대한 민감성, 자기 조절 및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이러한 미덕은 쇠퇴하고 있습니다. 스와이프-탭-클릭 같은 산만함의 시대에는 이러한 속성이 우리 사회에 풍부하지 않습니다. 도덕적 용기는 지켜보지 않더라도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위험 회피와 순응하라는 압박의 시대에 올바른 행동을 취하는 것이 항상 편안한 것은 아닙니다. 동료, 동료, 후원자, 기부자, 심지어 정부로부터 잠재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상황에서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시험입니다.
이 도전에 나서기 위해서는, 영국 역사학자 닐 퍼거슨이 우리에게 말했듯이, 우리는 도덕적 용기를 학생들, 동료들, 지역사회, 그리고 미래의 지도자들이 사회의 많은 두려운 장벽을 극복하고 능동적인 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돕는 동기 부여의 힘으로 보아야 합니다.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고 삶을 바꾸기 위해서는 도덕적 용기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를 쉽게 수행합니다. 그러나 도덕적 용기를 바탕으로 가치와 윤리를 버리는 사람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에 발 벗고 나서야 합니다.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 있어 가치와 윤리를 추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인류의 가치 체계가 없는 인공지능은 디스토피아적입니다.
여기가 우리의 전환점입니다. 도덕적 용기가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을 이끌어야 합니다.
21세기 초부터 대학들은 고등 교육 분야에 특화된 메가트렌드와 트렌드가 자리 잡으면서 점점 더 많은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현재 재정적 압박, 제도적 자율성, 제도적 중립성 요구, 사회적 라이선스의 침식, 경쟁 순위, 탈식민화, 토착화, 표현의 자유, 학문의 자유, 캠퍼스 커뮤니티에 스며드는 양극화 등 서로 관련된 엄청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편, 인공지능은 우리의 근본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가르치는지, 무엇을 가르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가르치는 것입니다.
이것은 2024년 11월 미국 선거 이전의 우리의 현실이었으며, 이 선거는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고등 교육 시스템 중 하나에 대한 공격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제 우리와 우리 공동체가 당연하게 여기게 된, 우리 기관을 지탱하는 도덕적 용기에 대한 수십 년간의 대화를 재개할 때입니다.
도덕적 용기의 핵심에는 진리, 정의, 공익에 대한 흔들림 없는 헌신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가치가 제도적 이익이나 정치적 편법과 충돌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권력에 진실을 말하다"와 같은 슬로건으로 나타납니다. 흥미로운 단어, 진실. 나중에 자세히 알아보세요. 우리의 도덕적 용기는 이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최전선은 미국이지만 이러한 도덕적 도전은 전 세계로 계속 수출되고 있습니다.
도덕적 용기와 인접한 것은 제도적 자율성입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대학의 이 정의적 전제 조건인 자율성과 자기 결정에 도전하는 입법적 개입에 직면해 있습니다.
자율성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대학의 자율성은 도덕적 용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독립성은 기관을 정부와 분리하여 기관이 어떻게 운영되고, 무엇을 가르치는지, 무엇을 연구하고, 사회에서 어떻게 역할을 수행하는지 결정할 수 있게 합니다.
양극화로 인해 기관이 분열됨에 따라 우리는 자율성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고 개인 또는 그룹 의제를 추구할 때 우리가 처한 정의적 차원을 위협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학의 자율성은 학문의 자유를 촉진하고 혁신을 촉진하며 기관을 부당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합니다. 그러나 2025년에는 정부, 시장, 이념 및 일부 동료들이 제도적 및 학문적 공간의 독립성을 침해하면서 이 원칙은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자율성에 대한 도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도전은 우리 기관과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한 대중의 지지와 신뢰가 약화되면서 촉발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학생 수와 정부, 산업계가 대학 연구와 혁신의 경제적 가치에 다시 집중하는 모습을 동시에 목격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미국 행정부가 대학에 정책 수정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에 대한 도전 과제를 목격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놀라운 것은 국제 교육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입니다. 영국에서는 학생청이 대학 업무에 개입할 수 있는 권한으로 고등 교육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대학은 정부 자금 지원을 통해 인구의 일부를 지원받지만, 부분적으로는 비용에 미치는 인플레이션 영향을 인식하지 못하는 축소되거나 동결된 자금으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 자금 지원 모델은 더 이상 목적에 맞지 않아 고등 교육 기관이 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재정적 생존은 점점 더 자율성에 반하고 있습니다.
제도적 중립성
양극화로 인해 대학 학자와 학생이 분열되면서 제도적 중립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지지자들은 학문의 자유를 강화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지지자들은 학문의 자유를 약화시킨다고 주장합니다. 제도적 중립은 정치적 논란이나 윤리적 책임을 피하기 위한 유용한 원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중립 자체가 정치적 입장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바로 이 문제에 시의적절한 도전이 있습니다. 내부 정책이나 법제화된 제도적 중립성이 대학 지도자들이 자신의 기관을 방어할 도덕적 의무를 부정할 수 있을까요? 대학 지도자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스템을 비판할 도덕적 용기를 가져야 합니다.
본질적으로 대학 지도자들은 신중하게 목소리를 내야 하지만, 모호하고 광범위한 언어로 그들과 그들의 기관을 재갈을 물리지 않아야 하고 그들과 사회의 고등 교육에 대한 이해를 재정의해야 합니다.
대학은 다양한 관점의 표현을 지지하고 장려하는 동시에 불의를 비난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야 할 의무도 있습니다.
신뢰, 소셜 라이선스 및 순위
소셜 라이선스는 사실상 우리 지역사회와의 비공식적인 계약입니다. 이는 대중의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의무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학의 규모와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는 약화되었습니다. 비평가들은 등록금 인상을 지켜보았고, 고용주들은 고등 교육이 '일에 적합한' 졸업생을 배출하지 못한다고 불평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대중이 대학 전문가에게 이해와 조언을 구했습니다. 장기적인 봉쇄와 지식의 진화로 인해 궁극적으로 고등 교육 기관에 대한 불신이 가속화되었습니다.
고등교육기관은 이러한 일들을 목격하는 동시에 더 다양한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삶을 개선하는 강력한 엔진으로 보여지게 되었습니다.
성공적으로 성장하는 기관들은 사회적 라이선스가 약화되고 성공하는 이러한 현상과 병행하여 경쟁력 있는 대학 순위의 주류로 자리잡으며 세계화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주요 초점은 아니지만, 학생과 연구 수입을 유치하기 위한 국내외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학 순위와 이를 개발하는 기관들은 고등 교육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순위를 단순한 트로피로 취급하기보다는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순위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대학으로 인해 해당지역에 발생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경제적 기여와, 그로인해 그 지역사회가 더 성장하고 개선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고무적으로 대학을 평가하는 이 새로운 접근 방식은 이미 진행 중입니다.
결론
고등 교육, 지역 사회에 대한 혜택, 시민 사회에서의 역할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들은 자율성을 수호할 도덕적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1088년에 설립된 시스템의 현재 수호자로, 수세기에 걸쳐 우리의 정체성, 업적, 공헌을 형성해 왔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정통성에 도전하고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여 새로운 국경을 개척하고 지평을 넓히며 생명을 구했습니다.
2025년, 자율 기관들은 지정학, 지경학, 기후 변화, 인공지능, 잘못된 정보, 허위 정보, 공중 보건 등 복잡한 문제에 지적 엄격성을 가지고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외부 동료들과 협력하여 영향력을 염두에 두고 이 작업을 수행합니다. 기관은 자신의 길을 선택해야 합니다. 개별 기관은 이에 대해 강력한 내부 논쟁을 벌이고 있지만, 우리 연구에 적용하는 것과 동일한 엄격성을 가지고 외부 압력을 탐색해야 합니다.
우리와 같은 기관들에게 진리 추구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으며, 이것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려면 신뢰가 아무리 수은처럼 보일지라도 진리와 동등한 부분으로 측정되어야 합니다.
(원문)
Reclaiming higher education demands moral courage and autonomy
By Dawn Freshwater, Ph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universities have come under mounting pressure as megatrends and trends specific to the higher education sector have taken hold.
We are now confronting a daunting mass of interrelated issues: financial pressures, institutional autonomy, calls for institutional neutrality, the erosion of social license, competitive rankings, decolonization, indigenization, freedom of expression, academic freedom and polarization seeping into campus communities. Mean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reatening our very fundamentals.
It is not a question of how we teach, or what we teach but that we teach.
This was our reality before the November 2024 elec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2025 assault on one of the world's most highly respected higher education systems.
It's time to resume our decades-long conversation about the moral courage that underpins our institutions — a courage we and our communities have come to take for granted.
At its core, moral courage requires an unwavering commitment to truth, justice and the public good, particularly when these values conflict with institutional interests or political expediency. It manifests in slogans such as "speaking truth to power." Interesting word, truth. More on that later. Our moral courage is now being tested. The front line is the United States, yet these moral challenges have been and continue to be exported worldwide.
Adjacent to moral courage is institutional autonomy. Many of us are facing legislative interventions that challenge this defining prerequisite of a university: self-rule and self-determination.
The erosion of moral courage
Moral courage speaks to ethics, sensitivities to justice,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Yet this virtue has been in decline. In an age of swipe-tap-click-like distraction, these attributes are not abundant in our society. We might consider moral courage as doing the right thing even when not being watched. Taking the right action is not always comfortable in an age of risk aversion and pressures to conform. It requires courage in the face of potential alienation from peers, colleagues, funders, donors and even governments.
This is our test.
To rise to this challenge, as British historian Niall Ferguson tells us, we must also see moral courage as a motivating force that assists our students, colleagues, communities and future leaders in overcoming the many fearful barriers in society, enabling them to be active citizens.
It takes moral courage to pursue research to address global issues and change lives. We do this effortlessly. Yet we must also commit to stepping up in society to address those who discard values and ethics in the service of moral courage. One acute example is pursuing values and ethics in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thout humanity's value system is dystopian.
This is our pivot point, where moral courage must guide everything we do. I acknowledge my colleagues who are bravely doing just that.
Autonomy is under threat
University autonomy is closely associated with moral courage. This independence separates institutions from governments and allows them to decide how they are run, what they teach, what they research and how they execute their role in society.
As polarization divides our institutions, we must focus on protecting autonomy and take care that in pursuing individual or group agendas, we do not threaten this defining dimension of what we are. University autonomy fosters academic freedom, fuels innovation and protects institutions from undue influence. But in 2025, this principle faces unprecedented challenges as governments, markets, ideologies and some of our colleagues encroach on the independence of institutional and scholarly space.
Challenges to autonomy come in many forms. They are fueled by an erosion of public support and trust in our institutions and what we do. Ironically, at the same time, we are witnessing increasing student numbers and governments and industry refocusing on the economic value of university research and innovation.
Today, we see challenges to autonomy in the US administration's demands on universities to amend policies. Equally alarming are maneuvers to restrict international education. In England, the Office for Students regulates higher education with the power to intervene in university affairs.
Most universities, partially funded by their populations through government funding, are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due in part to reduced or frozen funding that fails to recognize the inflationary impacts on their costs. The funding model in many countries is no longer fit for purpose, plac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conflict with governments. Financial survival is increasingly pitted against autonomy.
Institutional neutrality
As polarization has divided university academics and students,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louder calls for institutional neutrality. This is controversial. Supporters argue that it strengthens academic freedom, while others claim that it undermines it. Institutional neutrality can be seen as a handy principle to avoid political controversy or ethical responsibility. Others will argue that neutrality itself is a political position.
There is a timely challenge to this very issue. Could internal policies or legislated institutional neutrality deny university leaders their moral duty to defend their institutions? Leaders must have the moral courage to critique the systems we inhabit.
By nature, university leaders are measured; they deploy their voices carefully; yet to gag them and their institutions with vague and broad language redefines them and society's understanding of higher education.
While universities support and promote the expression of diverse viewpoints, they also have a duty to denounce injustice and uphold human dignity.
Trust, social license and rankings
Social license is effectively an informal contract with our communities. It is a mandate to operate with public trust. Over time, this has been eroded as universities have grown in scale and influence. Critics have watched tuition fees increase, and employers have complained that higher education fails to produce "work-ready" graduate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COVID-19 pandemic, members of the public turned to university experts for understanding and advice. Prolonged lockdowns and evolving knowledge ultimately accelerated distrus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confronting to witness this while, at the same time, higher education is accessible to more diverse people and has shown to be a powerful engine to improve lives.
In parallel to this phenomenon of eroding social license and successful, growing institutions is the mainstreaming and global profiling of competitive university rankings. While these are not a primary focus for most institutions, they have become important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attract students and research income.
University rankings and the agencies that develop them have become powerful forces in higher education. However, rather than treating rankings as mere trophies, we need to focus on creating rankings that highlight local impact. This would show communities the direct social and economic contributions their universities bring and where there is room to grow and improve. Encouragingly, this new approach to assessing universities is already underway.
Conclusion
All committed to higher education, its benefits for communities, and its role in civil society bear a moral responsibility to defend autonomy. We are the current guardians of a system founded in 1088 that has shaped our identity,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ver centuries. Our forebears challenged orthodoxy and explored the unknown to forge new frontiers, expand horizons and save lives.
In 2025, autonomous institutions are responding to complex challenges, including geopolitics, geoeconomics, climate change, AI, misinformation, disinformation and public health with intellectual rigor. They undertake this work in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eers while being mindful of the influence exerted. Institutions must choose their path. While individual institutions have robust internal debates about this, we must navigate external pressures with the same rigor we apply to our research.
The pursuit of truth remains in the foreground for institutions such as ours, and to be taken seriously, trust — no matter how mercurial it may appear — needs to be measured in equal parts to truth.
-------

Dawn Freshwater is Vice-Chancellor of the University of Auckland. She was the first female Chair of the G08 Research Intensive Universities in Australia and past Chair of the Partnership Board of the World University Network (WUN). She is currently Chair of UNZ Research Committee and Deputy Chair and board Director of Research Australia.
Professor Freshwater was awarded her PhD at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1998). Her contribution to the fields of Nursing, Public Health (specifically Mental Health and Forensic Mental Health) and in researching Leadership practices won her the highest honour in her field - the Fellowship of the Royal College of Nursing (FRCN). She is an elected Member of the Academia Europea (MAE) and a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Ireland (FRCSI), both awards were made for her contribution to clinical science.
She continues to supervise research students. Her research crosses public health,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y, and nursing. Her current grant activity includes being PI on an ARC Linkage Grant related to Youth Suicide and Self-Harm.
'들어볼만한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 잘하는 법 (0) | 2025.08.21 |
---|---|
[펌]한국 명문대의 추락 왜? (0) | 2025.08.08 |
퇴직에 관한 현재의 생각 (4) | 2025.05.17 |
요즘 시대 부하직원 다루기?! (0) | 2025.05.13 |
무관심의 힘 (2) | 2024.11.25 |